현대에서 유럽전략형 모델로 개발한 i30를 국내에 시판하는 것은 사실은 큰 모험이었다. 세단에 과한 집착을
보이는 한국소비자들에게 해치백은 국민차형 스타일이라든가, 후방추돌시 위험한 차, 트렁크 공간이 부족한 차
정도로 치부되며 고전을 면치 못했기 때문이다.
사실 i30가 들어올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파격적인 가격과 스타일과 연비를 자랑하던 5세대 골프 덕분이었다.
그덕에 골프를 잡자고 만들었던 유럽모델인 i30가 유럽에서도 인정받자 자신을 얻었는지 젊은 소비자를 겨냥해서
턱 들어왔지 뭔가. 임수정을 앞새워 '달라 난 달라' 하면서.
여기까지가 내가 기억하는 아이써티.
풍문으로 들은 아이써티에 관한 이야기는,
유럽을 겨냥해 만든 차체를 그대로 들여왔기 때문에 단단한 하체와 꼼꼼한 조립품질을 한국에서도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것, 그 덕분에 한국차 중에서 코너링은 거의 최고라는 것 등등 뭐 하여튼
"현대에서 실수로 너무 잘만든" 차 라고들 추켜 세우는 정도?
사실 아내나 나나 해치백 스타일을 워낙에 좋아해서 아무런 갈등 없이 차를 선택할 수 있었다.
미국에서 '구매할 뻔 했던' 마즈다3와도 많이 닮았던 것도 작용한 듯.
익스테리어로 봤을 때, 나에게 거의 아쉬운 부분들은 없었다.
옵션인 17인치 크롬인서트 타입의 휠도 에프터마켓용 마냥 아름다웠고, 준중형에 어울리지 않는 프로젝션램프 라던지
사이드리피터, 모두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
다만 리어부분에 스포일러가 달려 나오는 것이 아니라 허전한 느낌이 많아서 나중에 순정 스포일러를 구매해서
달았다. 튠업마니아들이 좋아하는 다운포스라던지 뭐 그런건 전혀 없지만 리어스포일러 하나만으로 굉장히
매끈한 바디라인이 완성 되었다.(고 생각한다.)
인테리어도 굉장히 깔끔하다. 싼티가 나지도 않고, 그렇다고 무언가 굉장히 꾸미려 하지도
않아서 운전할 때 굉장히 편하게 느껴진다. 현대가 사용하는 블루라이팅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부담이 없어서 괜찮았다.
스텝게이트식 쉬프트의 크롬은 에러지만 그 외에는 굉장히 차분하고 정돈된 느낌. 계기판이
항시 라이트가 켜져있는 것이 아니라 약간 실망스럽지만 그거야뭐 그리 대단한 부분도 아니고,
적당히 묵직한 핸들도 마음에 든다.
연비개선형 모델이라 그런지 모르겠는데 1단은 부드럽게 힘있게 잘 나가는데 2단에 굉장히
힘겹다. ECO 파란불로 맞춰서 가속을 할려면 뒤에서 하이빔 켜는 걸 감수해야할 정도;
오히려 고속에서는 편안하게 가속이 되어 잘도 치고 나간다. 예전에 몰던 시빅이 1.6 이었는데
물론 10년 정도의 갭이 있긴 하지만 시빅보다 훨씬 묵직한 느낌이 강했다.
배기음에 조금만 더 신경을 써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고, 다양한 드레스업 제품들과
고성능사양 트림이 존재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지만 그래도 굉장히 마음에 들어하며
잘 타고 있다.
2011년인가 12년에 풀모델 체인지 예정이라는데 '한국엔 단종'뭐 이런건 아니겠지;;
'Toys for adul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COH GR DIGITAL III (0) | 2009.11.15 |
---|---|
SONY ERICSSON XPERIA X1 (0) | 2009.08.31 |
SUPREME X KUBRICK X MUPPETS (0) | 2009.08.23 |
PORSCHE 911 TARGA 4S (0) | 2009.07.10 |
Volkswagen EOS 2.0FSI (0) | 2009.05.01 |